반응형

reset 2

[리액트] 스터디 (git 포함)

✨ useEffect dependency에 state로 인한 무한 렌더링을 야기하는 경우*(코드) - 무한루프에 빠지는 경우를 먼저 알아야할 것 같다. 1) 의존성 배열이 없을 경우 2) 의존성 배열이 있으나, useEffect 함수 내에서 의존성 배열 내의 값을 수정하고 있는 경우 3) 의존성 배열이 있으나, useEffect내에서 state의 변경을 야기하는 경우 const obj = { name: "amy", age:28 } const [myInfo, setMyInfo] = useState({...obj}); useEffect(()=>{ setMyInfo({...myInfo, age:22}); },[obj]) obj가 바뀌지 않았는데, 무한 렌더링이 발생한다. 이 이슈를 찾는데 사수님께서 알려주셨다..

[TIL] 2109014 오늘 공부는 git revert

리액트 렌더링에 대해서 너무 잘 모르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. 덕지덕지 코드를 한 두줄의 코드로 정리할 수 있음을 알고 진짜 놀라는 중... 내가 논리력이 부족한가.. 고등학교때 명제를 잘 못했나? 생각이 들어서 동료 개발자분한테 리액트 어떻게 공부했냐고 했더니 삽질이 답이라고 하셨고, 빨리 느는 방법은 없다고 했다. 인강 듣고 이런 것 보다는 회사에서 일하다가 모르는 부분을 계속 찾아보고, 그 부분에 대해서 공부하는게 효율적이라고 했다. 끙... 기존의 것을 수정하기보다는 구조가 이상하면 구조를 바꿀 줄 알고, state값이 필요하면 추가해서 처리하는 능력이 필요하다. 더 많은 삽질이 필요한 순간. 커밋했던 것을 되돌리고 싶었다. 되돌려서 staging area로 내려서 쓸데없는건 버리고 필요한 것만 ..

개발일지/TIL 2021.09.14