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이력서 쓰기
- 경력 필수.
- 경력 자세하기 ( ex) 4인이 개발참여 x , 어떤 기술 사용 & 어떤 역할로 일을 한 건지 & 성과에 대한 수치화 )
- 주의 : IDE와 커뮤니케이션 툴 x (슬랙, inteliji 등)
- 필요한 경력만 넣기, 경력이 없다면 블로그 / 깃헙 등
- 면접관에세 설명할 수 있는 내용만 넣자. 긴가민가하면 안쓰는게 낫다
- 중요한 것 먼저 배치, 블로그? 이력? 등 가장 위에 두고 어필, 회사에 대한 추가적인 어필 문구 기재
- 이력서는 열심히 쓰자! 포장을 잘하자!
2. 개발자가 가져야하는 역량
- 문제해결능력! 막히는 부분을 정의하고 어떻게 해결 방법을 찾아낼 수 있는지?
* 개발하면서 ~~어떤 문제 없었나요?
- 구현력! 도메인의 복잡도를 줄이면서 각자의 역할을 가지고 있는 코드를 만들 것인지? 코딩 테스트 및 실제 프로젝트에서 드러난다. 어떤 것을 구현해내를 과제를 내기도 함
- 학습능력! IT기술의 트렌드는 정말 빠름. 무조건이라는건 없음. 평소 어떤식으로 공부를 하는지? 어떻게 나한테 필요한 기술스택을 학습했었는지? 드러내는 것이 필요 // 트레이드오프(장단점)가 무조건 존재. 어떤 기술에 대한 단점을 존재한다.. 꼭
* 왜 그 프레임워크 택했어요? 라고 안물어본다..! 왜? 주니어때는 뭐가 좋은지 잘 모르고 경험해보지도 못했으니깐
- 자기주도 능력, 탐구력! 스스로 고민하고 해결하고, 새로운 기술을 도입해야하는지 제시할 줄 아는 개발자
- 의사소통능력/팀워크 - MSA가 들어오면서 IT의 중요도가 높고, 비즈니스 요구사항의 복잡도 증가 -> 기획자, 디자이너, 같은 개발자들끼리의 협업, 의견 수용할 수 있는 자세 필요
3. 개발자 이력서 본격 쓰는 방법
- 프로그래머스 이력서 탭 https://programmers.co.kr/resumes
프로그래머스
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.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.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,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.
programmers.co.kr
- CANVA 이용해서 직접 만들기 (직접 템플릿이 만들어졌음)
- 노션으로 만들기(내 노션으로 복사해서 갈 수 있음) / 링크 혹은 PDF 제출하기
- 이력서와 포트폴리오는 구분해서 만들기(합쳐서X)
* 이력서: 학력, 경력, 인적사항, 깃헙,블로그 주소 등
* 포트폴리오: 프로젝트에 대한 자세한 설명 모음 -> 뷰 화면, 코드, 어떤 활동이 의미가 있었는지 등
* 자기소개서: 나의 성격, 경력, 본인 소개 등
* 보통 이력서 + 포트폴리오 제출
4. 이력서 내용
- 연락처(이메일/휴대폰) , 블로그 , GITHUB 링크 (게시글 별로 없으면 쓰지말기)
- 자기소개 (나는 주로 어떤 역할을 하는지, 구현력 및 의사소통능력 등 장점 역량을 드러내는것도 좋다.
- 업무경험: 크게는 회사/기간/한일을 적기! 세부적으로 적어야함. 최신순으로 적어야 함
- 기술: 초급 단계의 기술은 적지 않기. 나열할 필요 없다. React에서 Redux 사용해봤다는 것도 적어도 됨
- 학력: 비전공자의 경우 학습의지와 경험을 다른 교육기관에서의 학습을 통해 드러낼 수 있음/ IT 관련 수강 과목있다면 적어도 됨
- 개인 프로젝트: 업무경험과 비슷하게 적는다. 개인 프로젝트는 경력은 아님. 별도의 칸에 적는것이 좋다.
- 수상& 자격증: IT와 관련된 것만 넣기. 지원한 회사와 관련된 자격 내 스토리와 관련된 (EX 마케팅, 경영 등)이 있다면 넣어도 OK
- 명확한 기술 스택이 드러나야함.
- 주요 이력서 참고*
*번외 질문
- 비전공자/비경력자의 전업 스토리? 가 필요없다. 합리적이고 이성적인 관점으로 개발자가 되려고 그러면 단지 뭘 했는지? 가 더 중요함
5. 포트폴리오
- 질문의 유도제임. 깃허브 제출에는 리드미는 필수* 코드 까보기 힘드니 리드미를 최대한 상세하게 작성해라
- 소스코드 & 깃허브 주소를 쌩으로 올려놓는것은 절대 절대 안됨. 까보지 않는다. 플젝이 어떤 부분이 의미있는지에 대해서 설득할 수 있어야 함(고민점 써놓기)
- 어떤것에 중점을 주고 있는지 은연중에 소재를 통해 드러내자.
- 포폴은 피드백이 생명이다! 꼭 받아보기
- 개발 기술을 눌러서 들어가면(REACT) 에서 어떤 기능을 써본적이 있다를 기재해주면 좋다.
- 회사 프로젝트에는 노출되면 안되는 정보는 주의해서 노출할 것
- 학습 경험(TIL)을 남기면 좋다! -> CS 개념 등
- 남들에 대한 나의 평가도 적어주면 좋다.
- 리포지토리 링크를 쌩으로 제출하거나, ZIP 파일 제출X, 리드미없으면 절대 안됨
https://dnight.tistory.com/entry/GitHubio-%ED%8E%98%EC%9D%B4%EC%A7%80-%EB%A7%8C%EB%93%A4%EA%B8%B0
GitHub.io 페이지 만들기
Github 를 통해서 홈페이지 또는 블로그 같은 웹페이지를 표시하고 사용 할 수 있습니다. https://pages.github.com/ GitHub Pages Websites for you and your projects, hosted directly from your GitHub reposi..
dnight.tistory.com
6. 회사찾는법 - 이론
- 회사의 기술 블로그 혹 사내 오픈소스를 검색해서 보는게 좋다.
- 사람인과 더브이씨에 회사를 검색하면 투자를 받은 라운지와 금액을 대략 알 수 있다. 연봉 안주거나 적게주면 안됨
- 중요!!! 사수와 팀원이 반드시 일해야함. 개발자가 혼자 일하는것이 안좋음. 로켓펀치와 링크드인에 회사정보를 검색해서 등록된 개발자들을 확인해보자
- 회사에서 원하는 팀원이 구체화되어있어야 좋다. 프로그래밍 전반에 이해가 깊은자 -> 위험
- 일단 스타트업/중소기업은 다녀봐야 아는 정보들이 많다. 면접에서 회사에 대한 많은 정보를 알아와야함. 회사에서 집중하고 있는 프로젝트가 무엇인지... 명확하지 않으면 x -> 그래서 면접을 많이 보러 다녀야한다!!
but 회사 by 회사
7. 회사찾는법 - 실전
- 로켓펀치, 원티드, 사람인, 링크드인 가입 -> 링크드인에 상세하게 이력에 대해 작성하기
- 기술스택(ex 스프링)을 검색한 후 채용 공고를 자세히 보면 좋다
- thevc.kr 에서 스타트업 투자 금액 확인 가능
- 원하는 회사를 검색해서 일하는 사람한테 일촌 신청하고 질문해도 좋다.
- IT업계에서 좋은 관계 유지하기
8. 신입 개발자들이 걸러야 하는 회사 조건
- 개발자의 능력을 평가하지 않는 회사 // 나의 능력을 평가하지 않는 회사
- 면접 절차가 엉망인 회사. 면접을 볼 준비도 안 되있는 회사
- 과한 열정 강요.. 야근/주말출근
- 개발문화 설명하지 못하는 못함